|
원산지증명 간소화 물품 수집분석(간이발급제 확대) | |
---|---|---|
분류번호 | 20-05 | |
저자 | 윤호성, 남혜지 외 2인 | |
자료구분 | 정책개발 및 관세행정 | |
발간연도 | 2020 | |
비공개된 보고서 입니다.
|
본 보고서의 주요 연구내용 구성 ① 원산지증명 간소화 제도 개념 ② 2020년 원산지증명 간소화 가능 물품 선정결과 ③ 원산지증명 간이발급제도 활성화 및 확장 방안 제1장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연구방법 제2장 원산지증명 간소화 제도 개념 및 필요성 1. 원산지증명 간소화 제도 도입 1-1. 원산지증명 간소화 제도 개념 1-2. 원산지증명 간소화 제도 운영 방안 2. 원산지증명 간소화 가능 물품 유형 제3장 원산지증명 간소화 물품 선정 및 원산지 충족 해설 1. 원산지증명 간소화 대상 물품 선정 결과 2. 원산지증명 간소화 대상 물품 원산지충족 해설(총 40개 품목) 제4장 원산지증명 간이발급제도 활성화 및 확장 방안 1. 원산지증명 간이발급 제도 활성화 방안 1-1. 원산지증명 간이발급제도 활성화 방안 필요성 1-2. 품목별 원산지인증수출자 인증 신청 서류 간소화 1-3. 일반 원산지증명서 발급 신청 서류 간소화 1-4. 원산지증명서 발급기관 현지확인 생략 1-5. 원산지증명서 신청서류 심사 생략 1-6. 원산지증명 간이발급제도 활용 발급 내역 확보 1-7. 원산지증명 간이발급제도 안내 2. 원산지증명 간이발급제도 확장 방안 2-1. 원산지증명서 발급 신청 제출 서류 추가 면제 2-2. 신규 협정 기관발급 대상 확장 2-3. 원산지조사 대비 자율점검 도입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 원산지증명 간이발급제도 물품 확장 2. 원산지증명 간이발급제도 활성화 및 확장 방안 |
이전글 | FTA 활용효과 증대를 위한 EODES 구축방안 및 협정세율 이행 모니터링 |
---|---|
다음글 | FTA 활용 수출 모니터링 정보 제공체계 구축 |
페이지
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