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원산지증명 간소화품목 추가 발굴을 위한 원산지결정기준 해석 | |
---|---|---|
분류번호 | 22-01 | |
저자 | 김수정외 3인 | |
자료구분 | 정책개발 및 관세행정 | |
발간연도 | 2022 | |
비공개된 보고서 입니다.
|
본 보고서의 주요 연구내용 구성 ① 원산지 간이확인대상 물품 확장 및 고도화 작업 ② 간이확인 대상 물품 [별표 2-2]의 현행화 및 고도화 ③ 신규 발효 협정 물품 발굴 ④ 신규 물품추천을 위한 협회 물품 추천 의뢰 ⑤ FTA 원산지 간편인정 물품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제2장 원산지 간이확인대상 제도 개념 및 필요성 제1절 원산지 간이확인대상 제도 도입 제2절 원산지 간이확인대상 물품 유형 제3장 원산지 간이확인대상 제도 물품 고도화 및 물품 발굴 제1절 원산지 간이확인대상 물품 고도화 제2절 원산지 간이확인대상 물품 발굴 제3절 원산지 간이확인대상 물품 원산지충족 해설 제4절 원산지 간이확인대상 품목(신규협정) 제4장 FTA 원산지 「간편인정」 대상 물품 발굴 제1절 FTA 원산지 간편인정 대상 제도 개요 제2절 FTA 원산지 간편인정 대상 서류 확대 제5장 원산지 간이확인대상 제도 확대방안 제1절 원산지 간이확인대상 제도 확장 제2절 원산지 간이확인대상 제도 확대방안 제3절 요약 및 결론 |
이전글 | 협정별 FTA 특혜적용 분석을 위한 HS·품목분류 연계 등 DB 산출 |
---|---|
다음글 | RCEP 발효 대응 기업지원 정보 제공 |
페이지
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