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기관소개
인사말
설립목적 및 비전
연혁
CI소개
조직 및 직원
오시는 길
발간자료
FTA 활용정보
신통상 정보
FTA BRIEF
FTA무역리포트
연구보고서
FTA-PASS소식지
사업안내
FTA원산지연구
FTA원산지관리 시스템 보급
FTA전문인력양성
FTA관세행정지원
YES FTA전문교육
알림마당
공지사항
정보원 소식
채용정보
정보주체 권리보장
정보공개
정보공개안내
사전정보공개
경영공시
공공데이터 개방
사업실명제
윤리경영
전체메뉴
검색
전체메뉴 닫기
창닫기
발간자료
연구보고서
발간자료
FTA 활용정보
FTA 활용지도
FTA 경기실사지수(FBSI)
수출증가품목 이슈리포트
신통상 정보
동향 정보
FTA BRIEF
FTA무역리포트
연구보고서
FTA-PASS소식지
연구보고서
신고
"우리나라와 체약상대국의 품목분류 및 원산지규정 상이사례 분석(한-미FTA)" 상세페이지
썸네일, 제목, 분류번호, 저자, 자료구분, 발간연도 정보제공
우리나라와 체약상대국의 품목분류 및 원산지규정 상이사례 분석(한-미FTA)
분류번호
11-11
저자
진병진,임목삼 외 4명
자료구분
FTA 활용 정보
발간연도
2011
원문 보기
국문요약
목차
본 연구는 한-미 FTA가 발효되게 될 경우 수출입업체가 가장 먼저 직면하게 되는 품목분류에 대한 문제와, FTA 특혜관세 적용을 위해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원산지규정에 관한 문제를 양국의 FTA협상과정에서 가장 민감하게 다루어졌던 섬유와 자동차 분야에 집중하여 검토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범위 1
제2절 연구의 구성 및 방법 2
제2장 한국과 미국의 품목분류 및 원산지제도 4
제1절 국제통일품목분류제도 및 원산지제도의 개요 4
제2절 한국의 품목분류 및 원산지제도 22
제3절 미국의 품목분류 및 원산지제도 30
제3장 품목분류 상이사례와 영향 38
제1절 품목분류 상이로 인한 분쟁사례 38
제2절 품목분류 상이로 인한 분쟁의 발생원인과 성격 65
제4장 한국과 미국의 품목분류체제 비교 67
제1절 섬유분야 품목분류표 비교 68
제2절 자동차분야 품목분류 비교 442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482
목록
태그
#품목분류
#FTA특혜관세적용
#품목분류분쟁
#한-미FTA
이전,다음 게시물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전글
관세환급제도 유지를 위한 역외산 조달방식 변화 모니터링
다음글
FTA 특혜관세 적용 수입물품의 관세탈루 위험동향 분석
페이지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기타
평가
담당부서 :
연구팀 연구자료
담당자 :
연구보고서/김민준
문의전화 :
031-600-0758
담당부서 :
연구팀 연구자료
담당자 :
신통상 정보/박현혁
문의전화 :
031-600-0765
담당부서 :
정보분석팀
담당자 :
김민준
문의전화 :
031-600-0758
처음으로
사이트맵
기관소개
인사말
인사말
역대원장
설립목적 및 비전
연혁
CI소개
조직 및 직원
오시는 길
본원(성남세관)
서울센터
인천센터
대구센터
부산센터
광주센터
발간자료
FTA 활용정보
FTA 활용지도
FTA 경기실사지수(FBSI)
수출증가품목 이슈리포트
신통상 정보
동향 정보
FTA BRIEF
FTA무역리포트
연구보고서
FTA-PASS소식지
사업안내
FTA원산지연구
FTA원산지관리 시스템 보급
FTA전문인력양성
FTA관세행정지원
YES FTA전문교육
알림마당
공지사항
정보원 소식
채용정보
정보주체 권리보장
정보공개
정보공개안내
사전정보공개
경영공시
공공데이터 개방
사업실명제
윤리경영
청탁금지법 관련 상담내용 및 조치사항 공개
교육이수 현황
유관기관 홈페이지
관세청
관세청 FTA 포털
관세평가분류원
국세국경관리연수원
산업부 FTA 포털
AEO진흥협회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