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미 FTA 발효후 상품교역현황 변화 분석 및 상호협력모델 연구 | |
---|---|---|
분류번호 | 17-13 | |
저자 | 노재연,배철한 외 2명 | |
자료구분 | FTA 활용 정보 | |
발간연도 | 2017 | |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제2절 연구의 방법과 구성 제2장 한-미 FTA 재협상 가능성 점검
제1절 한-미 FTA 종료 및 재협상 근거 1. 조약법에 관한 비엔나 협약 2. 한-미 FTA 협정 3. 소결 제2절 한-미 FTA에 대한 미국 측 평가 1. 미국 무역대표부 (USTR) 2. 미국 국제무역위원회 (USITC) 3. 미국 상공회의소 (USCOC) 4.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 (PIIE) 5. 소결 제3절 한-미 FTA에 대한 한국 측 평가 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 무역협회 3. 산업연구원 4. 현대경제연구원 5. 한국경제연구원 6. 소결 제3장 한-미 FTA 발효 후 현황 분석
제1절 한-미 FTA 발효 이후 관세 양허 현황 1. 미국의 관세양허 현황 2. 한국의 관세 양허 현황 3. 소결 제2절 한-미 FTA 발효 이후 상품교역 현황 1. 한-미 FTA 발효전후 수출·입 현황 2. 한-미 FTA 발효 전후 품목별 수출·입 현황 3. 한-미 FTA 발효 후 한국의 수출 품목 수 현황 4. 종사자규모별 한국의 對미 수출·입 기업 수 및 교역액 현황 5. 한-미 FTA 발효 후 한국의 수출·입 건수 및 금액 현황 6. 소결 제3절 한-미 FTA의 FTA 활용률 현황 1. FTA 활용률의 정의 2. 한-미 FTA 연도별 수출·입 활용률 현황 3. 한-미 FTA 품목별 수출·입 활용률 현황 4. 소결
제4장 한-미 FTA 상호협력모델 제1절 관세 양허관련 상호협력 방안 1. 한국의 무역수지 적자폭이 증가한 품목 2. 한국의 무역수지 흑자폭이 증가한 품목 3. 산업내 무역지수가 증가한 품목 4. 소결 제2절 FTA 활용률 및 원산지결정기준 관련 상호협력 방안 1. FTA 활용률과 원산지결정기준의 관계 2. 한-미 FTA의 원산지결정기준 개괄 3. 한-미 FTA활용 주요 특혜수출 품목현황 4. 한-미 FTA 활용 주요 이슈 품목 분석(수출) 5. 한-미 FTA활용 주요 특혜수입 품목현황 6. 한-미 FTA 활용 주요 이슈 품목 분석(수입) 7. 소결
제5장 결론 |
이전글 | 외국의 비관세장벽 자료 체계화 |
---|---|
다음글 | 남북 경제협력 활성화 대비 FTA 역외가공 활용 방안 마련 |
페이지
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