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FTA-PASS수출기반 마련을 위한 수출환경 분석 | |
---|---|---|
분류번호 | 19-9 | |
저자 | 안소영, 김설룡 외 4인 | |
자료구분 | 정책개발 및 관세행정 | |
발간연도 | 2019 | |
비공개된 보고서 입니다.
|
※ 본 보고서의 주요 연구목적에 따른 내용 및 구성 □ FTA-PASS 수출환경 조사는 상대국의 일반환경분석과 원산지관리환경 분석을 통해 □ 기본구성 ㅇ (내부역량) FTA-PASS의 일반현황 및 수출역량 검토 ㅇ (수요조사) 하반기 수요조사를 위한 질문지 작성 ㅇ (외부환경) 원산지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환경(일반환경, 관세행정 주요 동향 및 이해관계자) 등 상대국 이슈사항에 대한 분석 – 베트남/중국 ㅇ (방향수립) 해외진출을 위한 방향성 제시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필요성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2. 연구방법 3. 수출환경 기초조사
제2장 FTA-PASS 수출을 위한 내부 역량 진단
제1절 FTA-PASS 일반 현황 1. FTA-PASS : 원산지관리시스템(Origin Management System) 2. FTA-PASS 일반 현황 제2절 FTA-PASS 기능 및 유형(일반현황) 제3절 FTA-PASS 수출역량진단 1. FTA-PASS 수출을 위한 내부 역량진단 2. KOTRA 글로벌 역량 수준진단(Global Competence Level Test) 3. 정보통신산업진흥원 SW공학센터 - SW(소프트웨어) 수출 체크리스트 제4절 FTA-PASS 수출을 위한 개선사항 및 시사점 1. SW수출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FTA-PASS 개선사항 발굴 2. FTA-PASS의 글로벌화 요구사항 및 시사점 도출
제3장 [FTA-PASS 영문서비스] 실시에 따른 활용국 다변화를 위한 사용자 의견조사
제1절 FTA-PASS 영문서비스 개요 제2절 FTA-PASS 영문서비스 관련 의견조사 1. FTA-PASS 가입자 대상 사용자 의견 조사 2. FTA-PASS 가입자 대상 사용자 의견 조사 결과 및 시사점 제4장 수출환경 기초 분석 사례- 베트남 / 중국 제1절 베트남 수출환경분석을 위한 기초조사 요약 제2절 베트남 수출환경분석을 위한 기초조사 결과 제3절 중국 수출환경분석을 위한 기초조사 요약 제4절 중국 수출환경분석을 위한 기초조사 결과
제5장 FTA-PASS 수출을 위한 장·단기 로드맵 수립
제1절 수출 재원마련 유형 ODA / EDCF / 통상연계형경제협력 1. 국제개발협력 – 공적개발원조(ODA) 중 무상원조 2.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3. 통상연계형 경제협력사업 - KOTRA
제2절 FTA-PASS 해외진출을 위한 단기 방향성 1. UNI-PASS 유형 : ODA 재원 마련을 통한 개도국 지원 2. EODES 유형 : 통상연계형 경제협력사업을 통한 FTA-PASS 수출 3. 민간 수출 유형 : FTA-PASS 상품 개발을 통한 해외 수출 4. 기타 : FTA-PASS 시범 활용을 통한 파일럿사업 추진(안)
제3절 FTA-PASS 수출을 위한 장기 로드맵 수립 1. FTA-PASS 수출을 위한 기술적 글로벌화 준비 개요 2. FTA-PASS 수출을 위한 기술적 글로벌화 계획 3. FTA-PASS 수출을 위한 전략적 글로벌화 준비 |
이전글 | EU 등록수출자 제도와 인증수출자 제도 비교 연구 |
---|---|
다음글 | 미국의 특혜비특혜 원산지결정기준 상관관계 분석 |
페이지
만족도 조사